놓치기 쉬운 자동차 소모품 관리, 제대로 알아보기
자동차의 본질은 도로 위를 안전하게 달리는 것이에요.
이를 위해 소모성 부품의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는 필수에요!
주요 소모성 부품과 관리법 
부품의 교체 주기는 주행 환경(고속도로, 도심 등)과 운전 습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1. 짧은 거리(시내 운행)를 반복 주행할 때
2. 먼지나 모래가 많은 지역을 주행할 때
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
4.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반복 주행할 때
5.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 주행 빈도가 높을 때
6. 험한 길, 눈길, 비포장길 등 주행 빈도가 높을 때
7. 고속도로에서 110km 이상의 속도로 자주 주행할 때
(보편적인 내연기관 차량 기준이에요)
이제 부품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1.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
역할
엔진오일: 엔진 내부 부품의 마찰을 줄이고, 냉각 효과 제공
오일필터: 엔진 오일의 불순물을 거르는 일종의 거름망
•
교체주기
엔진오일: 약 1~2만 km 또는 12개월마다 교체
오일필터: 엔진오일 교체 시 함께 교체.
2. 브레이크 패드 및 브레이크 오일
•
역할
브레이크 패드: 차량 감속 및 정차를 위한 필수 부품
브레이크 오일: 제동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
•
교체주기
브레이크 패드: 약 3만 km마다 교체(주행거리 1만 km마다 1회 점검)
브레이크 오일: 약 3~4만 km 또는 2년마다 교체
1. 브레이크에서 소음이 난다
2. 꾹 밟아야만 차가 멈춘다
3. 밟았을 때 뚝뚝 끊어지는 느낌이 난다
4. 계기판에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졌다브레이크 오일은
수분을 흡수하면 성능이 저하되므로 정기적으로 교체하세요!
3. 타이어 🛞
•
역할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고 노면과의 마찰로 구동력을 제공하며 접지력을 유지
•
교체주기
약 3~5만 km 주행 또는 마모 한계선(1.6mm 이하) 도달 시 교체
마모 한계선과 같은 높이가 되기 전, 타이어를 교체하는게 좋아요!
4. 배터리 
•
역할
차량에 전력을 공급해 엔진 시동을 걸고 각종 전기 시스템을 지원
•
교체주기
약 5만 km 또는 3년마다 교환
1. 시동을 끈 상태에서 전기 장치(오디오, 열선시트 등)사용 자제
2. 장기 주차 시 일주일에 1회, 30분 이상 시동
3. 블랙박스 전원 관리(장기 주차 시 일정 시간 후 전원이 꺼지도록 설정)
5. 냉각수(부동액)
•
역할
엔진 과열 및 부식 방지.
•
교체주기
약 20만 km 또는 10년마다 교체
운행 직후 냉각수 확인 시, 분출되는 뜨거운 냉각수에 의해 화상의 위험이 있어요 
6. 에어필터 
•
역할
외부 공기를 정화해 엔진으로 공급, 연소 효율 유지
•
교체주기
약 1.5~2만 km 또는 1년마다 교체(일반적으로 엔진오일 교체 시 함께 교체해요)
7. 미션오일(트랜스미션 오일) 
•
역할
변속기 내부 마찰 및 열 방지
•
교체주기
약 2만 km마다 점검 후 오염 시 교환
8. 와이퍼
•
역할
전면 유리 시야를 확보해 운전 시 안정성 제공
•
교체주기
1년 또는 성능이 떨어졌을 때 교체
와이퍼를 한동안 사용하지 않은 경우, 사용 전 와이퍼를 들어 물티슈나 걸레 등으로 블레이드 고무를 닦아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어요.(이때 와이퍼 블레이드가 아래를 향해 살짝 누워있도록 위치시키세요! 역방향으로 위치 시 떨림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요) 
9. 워셔액
•
역할
와이퍼와 함께 유리를 세척해 및 시야 확보
•
교체주기
3개월마다 보충해 주면 좋아요.
차량의 소모성 부품은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에요.
위 체크리스트를 참고해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한 주행을 이어가세요! 